http://cafe.naver.com/drhaws/72
북경에서 나비의 날개짓이 한달후에 마이에미에 폭풍을 일으킨다는 복잡계에서의 초기 민감성이 인간의 발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발전이라는 것도 비선형 적이어서 초기의 작은 차이가 반복되면 나중에 도약이라는 현상을 발생 시킨다. 이것을 '초기 조건의 민감성' 이라고 한다. 과정은 '점수' 가 되겠지만 나중에 '돈오' 라는 불연속 적인 도약을 일으킨다. 99도의 뜨거운 물과 100도 끓는물의 차이겠다.
의식 향상에 있어 차이 차이가 반복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호킨스 박사의 말을 들어보자.
"반복 효과는 셀수없는 시스템에서 존재한다. 이 반복효과 때문에 초기조건의 미세한 차이의 반복이 오랜기간 반복되면 갑자기 새로운 상태로 전환된다. Pentel chip은 소숫점 26자리까지 정확 했지만 그것이 수백만번이 반복 되었을때 갑자기 새로운 것으로 화했다.
유전자는 그 자신을 반복재한다. 그러다 작은 변이가 돌연변이로 화한다. 동일한 것에서 갑자기 새로운 것이 나타난다.
전체 인류중 2.4%의 인구가 악적인 것에 점령되어 있다 (demonically possessed). 그들의 침자리의 장(field)은 정상적인 것에 비해 역전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그들은 사랑에 의해 튕겨난다. 이들 2.4%의 사람들이 세계전체 문제의 78%를 일으킨다. 그들은 악마적인 힘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그들은 아마 어떤 목적에 소용이 되는듯 하다. 나는 그것이 어떤 것인지 모른다. 그들이 어떻게 이 행성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그들은 의식의 상승에 의해 끌어 올려지지 않는다.
사랑을 튕겨 낼때 어떻게 그들을 들어 올릴 것인가? 예수는 그의 제자들에게 그들과 관계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악과 맞서지 말라, 단지 피하라.
만일 당신이 악에 대한 과학을 만들어 낸다면, 당신은 그것에 의해 덫에 걸리게 된다. 당신은 그것에 빠진다. 엑소시즘 (귀신 몰아내기) 에서처럼, 당신이 그것을 한다면 당신을 물들이는데(get) 하루면 충분하다. 많은 액소시스트는 자살을 한다.
(# 역주 : 채널링 책을 쓴후 자살한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그런 책들은 극히 부정적 이라고 봐야 한다.)
당신이 다룰수 있는 악의 정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것은 악의 과학(science of evil)이며 매우 위험한 것이다. 위자보드(#역주 : 여고생 사이에서 한때 유행했던 분신사마 와 유사)는 위험하다. 그것이 게임일 지라도 --. 드래곤 앤드 던전은 극히 정확하지만 극히 위험 하다. 닌텐도 혹은 다른 유사한 게임도 위험하다. 매우 부정적(negative)인 것은 그것들의 에너지이다"
섬뜩 하지요.. ^^
나날의 삶에서 작은 것이 쌓일때 어느날 새로운 상태로 옮아 간다는 것이 중요하고. 부정적 에너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긍정적 에너지에 동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겠지요.
'우리는 영원히 헤어지지 않는다' 에서 Master spirit들은 "악과 싸우려 하지 말고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입니다.", "악한 것에 깊이 관심을 가지다 보면 선한 것을 알게되고, 선한 것에 깊이 관심을 가지면 악한 것을 저절로 알게 됩니다 --. 그러나 악을 깊이 알아서 선을 알더라도, 그 선을 행할 용기가 없어지며 ---, 선을 깊이 알아서 악을 알 때에는 악과 싸우지 않더라도 그 악이 스스로 부서집니다.", "무엇이 진리이고 무엇이 비진리 입니까? 생명을 가지고 있느냐, 생명이 없느냐 인 것입니다. ~~~ 진리는 사랑으로 인해서 그 안에 생명을 품게 됩니다."
마음으로 다시 한번 새겨 봅니다.
---- 사랑, 용서, 존경, 기쁨, 평화, 축복 -----
'데이비드호킨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욕망 (0) | 2008.07.05 |
---|---|
[스크랩] 모든 결함에는 보물이 숨어 있습니다! (0) | 2008.07.05 |
[스크랩] 소위 말하는 아스트랄 영역에 대해 무엇이 설명될 수 .. (0) | 2008.07.05 |
[스크랩] 데이비드 호킨스David R. Hawkins 박사와의 대담 - 200.. (0) | 2008.07.05 |
[스크랩] 건강과 잠재력 (0) | 2008.07.05 |